-
목차
"커피 주문해줘"라고 말만 하면 AI가 알아서 쇼핑부터 결제까지 처리하는 시대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2025년 9월 16일 구글이 발표한 AP2(Agent Payments Protocol)에서 수이 블록체인이 런치 파트너로 선정되며 AI 결제 표준이 마련되었죠. 60개 이상 글로벌 기업과 함께한 이 프로토콜로 구글 에이전트 페이먼츠의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이 글에서는 수이의 선정 배경과 기술적 우위, '보이지 않는 지갑' 시대 전망을 분석해보겠습니다.
관련 글: SUI 블록체인의 기술 혁신 - Aptos와 Solana를 넘어서는 차세대 구조란?에서 수이의 기본 기술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세요. 수이 공식 사이트에서도 최신 기술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구글 AP2와 수이 - AI 결제 표준의 새로운 생태계
1.1 AP2란 무엇인가 - AI 결제 표준의 핵심 메커니즘
AI 결제의 근본 문제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직접 쇼핑몰에 들어가서 상품을 고르고 카드번호를 입력해 결제했어요. 하지만 이제는 AI가 이 모든 과정을 대신하려고 합니다. "커피 주문해줘" "운동화 사줘" 같은 명령만으로 AI가 알아서 쇼핑부터 결제까지 완료하는 시대가 오고 있죠.
문제는 신뢰성이에요. AI가 결제한 후 "내가 언제 이걸 허락했지?" "이게 정말 내 의도였나?" "잘못되면 누구 책임이지?" 같은 문제들이 생길 수 있거든요.
AP2의 3대 증명 시스템
구글의 AP2는 현재 카드 결제를 중심으로 하며, 실시간 이체와 스테이블코인 등은 로드맵에 포함된 다음 3가지 핵심 요소를 암호학적으로 증명하는 게 목표입니다. (구글 클라우드 공식 블로그에서 전체 발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Authorization(권한 부여): 사용자가 AI 에이전트에게 정말 권한을 줬는가?
- Authenticity(진정성): AI 에이전트의 요청이 사용자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는가?
- Accountability(책임 소재): 문제 발생시 누가 어떤 책임을 지는가?
Mandate 시스템 - 디지털 위임 계약의 혁신
AP2의 핵심은 'Mandate(위임 계약)' 시스템이에요. 쉽게 말해 "AI야 이 조건으로 대신 결제해도 돼"라는 디지털 계약서를 미리 작성해두는 거죠. 이는 사용자 의도를 중심으로 한 Intent-Centric Architecture의 발전된 형태라고 볼 수 있어요.
실제 구매 단계에서는 'Cart Mandate(장바구니 계약)' - 즉 구체적인 상품과 가격이 확정된 최종 구매 계약서를 별도로 생성해서 전체 과정의 감사 추적(audit trail)을 유지합니다.
실제 작동 예시:
- 사용자: "운동화 10만원 이하로 찾아서 결제해"
- AI 에이전트: 사용자 의도를 Mandate(위임 계약)로 기록
- 상품 선택 후: Cart Mandate(장바구니 계약) 생성 - 구체적 구매 내역 포함
- 결제 실행: 모든 과정이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VC)**으로 서명되어 위변조 방지
1.2 왜 수이인가 - 구글이 선택한 블록체인 파트너의 조건
수이가 AP2에서 맡는 역할
수이는 AP2 생태계에서 블록체인 기반 투명성과 불변성을 담당하는 역할이에요. 앞서 설명한 Mandate와 Cart Mandate를 필요시 온체인 영수증이나 해시 형태로 보관해서 나중에 "정말 내가 허락했나?"를 증명할 수 있게 해주는 거죠.
수이가 AP2 런치 파트너로 선정된 이유는 프로그래머블 결제를 블록체인에서 구현할 때 필요한 조건들을 완벽히 갖췄기 때문이에요:
AP2 요구사항과 수이의 기술적 대응 (2025년 9월 기준) AP2 요구사항 수이의 해결책 기술적 우위 빠른 결제 처리 400ms 미만 완결성* 객체 병렬 처리 세밀한 권한 관리 Move 언어 타입 시스템 자산 중심 보안 모델 감사 추적 보장 불변 온체인 기록 투명한 거래 내역 확장 가능성 120,000+ TPS* 수평적 확장 지원 ※ 성능 수치는 테스트/프로토콜 개선 환경 기준이며, 실제 메인넷 운영 환경과 다를 수 있습니다.
A2A 확장과 x402 통합 - 크립토 생태계 연결
구글은 AP2와 함께 A2A의 AP2 확장 문서와 x402 통합 참고 구현(a2a-x402)도 공개했어요.
이는 코인베이스, 이더리움 재단, 메타마스크 등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된 것으로, 스테이블코인과 온체인 결제를 AP2 표준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이는 이 크립토 결제 영역의 초기 레퍼런스 구현체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아요.
2. AP2 vs 기존 결제 추상화 - 표준화 접근법의 차이
2.1 이더리움 ERC-4337의 구조적 한계
이더리움의 Account Abstraction인 ERC-4337은 블록체인 내부 문제에 집중했어요 (ERC-4337 완벽 가이드에서 자세한 사용법을 확인해보세요):
ERC-4337의 접근법:
- 블록체인 레벨에서 스마트 계약 지갑 구현
- 번들러 인프라를 통한 UserOperation 처리
- 단일 체인 내 사용자 경험 개선에 집중
AP2의 근본적 차이점:
- 결제 수단 불문: 카드부터 크립토까지 모든 결제 방식 통합
- AI 에이전트 특화: 자동화된 의사결정 과정의 투명성 보장
- 표준 우선: 구현체보다 상호운용성 확보가 목표
니어(NEAR) 체인 추상화와의 철학적 차이
니어 프로토콜(NEAR)의 체인 추상화는 "여러 블록체인을 하나처럼 사용"하는데 초점을 맞췄다면 AP2는 "AI 에이전트의 결제 행위를 표준화"하는데 집중해요:
- 니어(NEAR): Chain Signatures로 멀티체인 계정 관리
- AP2: Mandate 시스템으로 AI 결제 의사결정 과정 표준화
2.2 구글 AP2의 개방형 생태계 전략
AP2의 가장 큰 특징은 60개 이상 파트너와의 개방형 접근이에요. 구글이 독점적 플랫폼을 만드는 게 아니라 모든 참여자가 따를 수 있는 공통 언어를 제시한 거죠.
참여 업체 카테고리:
- 결제 인프라: American Express Mastercard PayPal Revolut Adyen Worldpay
- 기술 플랫폼: Salesforce ServiceNow Intuit
- 블록체인: Mysten Labs(수이) 코인베이스 이더리움 재단
- 지갑/핀테크: 메타마스크 Ant International
- 글로벌 카드사: JCB UnionPay International
- 이커머스: Etsy
3. '보이지 않는 지갑' 구현 시나리오 - 단계별 현실화 과정
AI 에이전트의 상용화가 가속화되면서 (2025년 AI 에이전트 시장 분석에 따르면 85%의 기업이 AI 에이전트를 도입할 예정), 결제 자동화에 대한 현실적 시나리오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현재 단계: 표준 발표와 파일럿 준비
중요:
아직 구글페이에 수이가 바로 연결된 것은 아니에요. 현재는 오픈 프로토콜 공개 단계이고 실제 소비자용 서비스는 각 참여사의 구현과 상용화를 거쳐야 합니다.
레벨 1:AI 쇼핑 비서의 투명한 결제
시나리오:
"여름 휴가용 원피스 5만원 이하로 주문해줘"
AP2 표준 하에서의 처리 과정:
- Mandate 생성: 사용자 의도와 예산 한도를 디지털 계약으로 기록
- 상품 탐색: AI가 조건에 맞는 상품들 비교 분석
- Cart Mandate 생성: 구체적인 상품과 가격 정보로 구매 계약 생성
- 결제 실행: 사전 설정된 결제 수단으로 자동 처리
- 감사 추적: 전 과정이 검증 가능한 기록으로 보존
수이의 역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Mandate와 Cart Mandate를 필요시 온체인 영수증 형태로 보관하고 나중에 "정말 내가 허가했나?"를 증명할 수 있게 해줘요.
레벨 2: 복합 서비스 자동 결제
시나리오:
"부산 출장 준비해줘 예산 50만원 KTX+호텔+렌터카"
AP2 표준을 따르는 AI 에이전트라면:
- 각 서비스별로 별도 Mandate 생성
- 예산 초과 시 자동 사용자 승인 요청
- 모든 예약 변경 내역을 Cart Mandate로 추적
- 출장비 정산 시스템과 자동 연동
레벨 3: 에이전트 간 마이크로 이코노미
가장 발전된 단계는 AI 에이전트끼리 서비스를 거래하는 경우예요:
예시: 당신의 AI 비서가 다른 AI 서비스 구매
- 실시간 번역 AI 서비스 1시간 구독
- 맛집 추천 AI로부터 지역 정보 구매
- 날씨 예측 AI와 데이터 교환 계약
이 모든 거래에 AP2 Mandate 시스템이 적용되어 에이전트 간 신뢰를 보장하게 됩니다.
보안과 제어권 - 사용자 중심 설계
AP2는 자동화를 늘리면서도 사용자 통제권을 강화하는 설계를 채택했어요:
- 세밀한 권한 설정: "카페 1만원 식사 3만원까지 자동 결제 허용"
- 실시간 모니터링: 모든 Mandate 활동 즉시 알림
- 분쟁 해결 지원: AP2가 제공하는 근거 데이터를 통한 이의제기 프로세스
- 투명한 기록: 모든 AI 결제 과정의 완전한 감사 추적
수이의 강점:
객체 모델 덕분에 각 Mandate를 독립적인 객체로 관리할 수 있어 다른 권한에 영향 없이 개별 권한만 수정하거나 취소할 수 있어요.
4. 수이와 구글 AP2 생태계 변화 - 구현 로드맵과 전망
구글 AP2 파트너 기업들의 수이 블록체인 활용 전략
결제 인프라 업체들의 대응
- Mastercard: 기존 카드 네트워크에 AP2 Mandate 시스템 통합 계획
- Revolut: 디지털뱅킹 앱에 AI 결제 비서 기능 추가 검토
- American Express: 기업 고객 대상 자동 출장비 결제 서비스 개발
블록체인 생태계의 역할 수이를 포함한 블록체인들은 AP2에서 투명성과 불변성을 담당하는 역할이에요:
수이의 AP2 구현 가능성 (비공식 예상, 실제 구현 일정은 미정) 블록체인의 기여 수이의 구현 방식 업계 예상 일정 Mandate 저장 불변 객체로 기록 미정 (개발 진행 중) 감사 추적 온체인 거래 내역 미정 (개발 진행 중) 권한 관리 Move 언어 스마트 계약 미정 (개발 진행 중) 크로스체인 결제 브릿지 프로토콜 연동 미정 (개발 진행 중) 소비자 서비스 출시 예상 시나리오
업계에서 예상하는 일반적인 신기술 도입 과정:
- 초기 단계: 파일럿 서비스와 개발자 도구 공개
- 베타 단계: 주요 파트너사들의 제한된 베타 서비스
- 상용화 단계: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 출시
- 확장 단계: 크로스체인 결제 등 고도화 기능 추가
※ 상기 과정은 일반적인 기술 도입 패턴이며, 실제 출시 일정은 각 파트너사의 개발 진척도와 규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개발자 생태계의 새로운 기회
AP2 기반 신규 서비스 영역:
- AI 결제 에이전트 개발: 특화된 쇼핑/결제 도메인별 AI 개발
- Mandate 관리 도구: 사용자가 권한을 쉽게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 감사 분석 서비스: AP2 거래 내역을 분석해주는 대시보드
수이 개발자들의 우위:
- AP2 표준의 초기 구현 경험 확보
- Move 언어 기반 Mandate 스마트 계약 개발 노하우
- 구글 클라우드 연동 서비스 개발 기회
규제와 표준화 과제
AP2가 실제 서비스로 자리잡으려면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있어요:
규제 대응:
- 각국 금융 당국의 AI 결제 가이드라인 수립 필요
- 개인정보보호법과 AI 에이전트 데이터 수집 범위 조율
- 크로스보더 결제시 다중 관할권 문제 해결
기술적 표준화:
- 다양한 AI 모델 간 Mandate 호환성 확보
- 기존 결제 인프라와의 레거시 통합
- 사용자 인증과 생체 정보 활용 범위 설정
구글 AP2의 런치 파트너로 선정된 수이는 기술적 우위를 인정받았다기보다는 새로운 표준 생태계의 초기 구축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다고 보는 것이 정확해요.
오픈소스 공개와 업계 반응
구글은 AP2 발표와 동시에 전체 프로토콜 스펙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TechCrunch 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요. 이는 진정한 개방형 표준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움직임입니다.
업계 반응도 매우 긍정적이에요. 특히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 코인베이스 CEO는 트위터를 통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습니다:
"x402 + @Google just unlocked a new level for AI agents. Agents can actually pay each other now" (x402와 구글이 AI 에이전트의 새로운 단계를 열었다. 이제 에이전트끼리 실제로 서로 결제할 수 있다)
아직은 오픈 프로토콜 발표 단계이고 실제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합니다. 하지만 "AI가 결제까지 대신하는 시대"의 기초 인프라가 구축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거죠.
수이의 관점에서는 이번 AP2 참여를 통해:
- 기업급 블록체인으로서의 신뢰성 확보
- 실제 결제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력 검증
- 구글 생태계와의 장기 협력 관계 구축
이라는 전략적 가치를 얻었다고 평가할 수 있어요.
앞으로는 각 참여사들이 실제로 어떤 서비스를 구현하느냐가 관건입니다. 표준이 아무리 좋아도 사용자가 실제로 쓸 만한 서비스가 나와야 의미가 있으니까요. 수이 생태계도 이 기회를 어떻게 활용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AP2 표준의 발전과 수이의 구현 진척사항에 대한 최신 소식을 계속 주시하며 실제 서비스 출시 시점과 사용자 반응을 면밀히 관찰해보세요. 표준 생태계 참여의 실질적 성과는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 면책 조항: 본 글은 정보 제공 및 교육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금융 조언이 아닙니다. 암호화폐 관련 결정 시 충분한 조사와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FAQ
Q1: 수이가 구글 AP2 파트너로 선정되면 구글페이에서 바로 수이를 사용할 수 있나요?
A: 아닙니다. 현재는 오픈 프로토콜 공개 단계이며, 실제 소비자용 서비스는 각 파트너사의 구현과 상용화를 거쳐야 합니다. 구글페이에 수이가 바로 연결된 것은 아닙니다.
Q2: AP2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기존 결제와 어떻게 다른가요?
A: AP2(Agent Payments Protocol)는 AI 에이전트가 사용자를 대신해 결제할 때의 공통 규칙을 정의한 오픈 표준입니다. 기존에는 사람이 직접 "구매" 버튼을 눌렀다면, AP2는 AI가 대신 결제하되 사용자 의도와 권한을 암호학적으로 증명하는 시스템입니다.
Q3: 언제쯤 실제로 AI가 대신 결제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
A: 구체적인 출시 일정은 각 파트너사의 개발 진척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인 신기술 도입 패턴을 보면 파일럿 서비스 → 베타 테스트 → 상용화 순으로 진행되며,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Q4: ERC-4337과 구글 AP2는 어떻게 다른가요?
A: ERC-4337은 이더리움 내 스마트 계약 지갑 구현에 집중한 반면, AP2는 카드부터 크립토까지 모든 결제 방식을 통합하고 AI 에이전트 특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ERC-4337은 블록체인 내부 문제 해결, AP2는 결제 수단 불문 표준화가 목표입니다.
Q5: Mandate 시스템이 정확히 어떻게 작동하나요?
A: Mandate는 "AI야 이 조건으로 대신 결제해도 돼"라는 디지털 계약서입니다. 사용자 의도를 Intent Mandate로 기록하고, 구체적 구매 시점에 Cart Mandate를 생성해 전체 과정을 검증 가능한 자격증명(VC)으로 서명하여 위변조를 방지합니다.
Q6: x402와 AP2는 어떤 관계인가요?
A: x402는 스테이블코인 등 디지털 통화 결제를 위한 프로토콜이고, AP2는 이를 포함한 모든 결제 수단을 지원하는 상위 표준입니다. A2A-x402 참고 구현을 통해 AP2와 크립토 결제가 연결됩니다.
Q7: 수이가 60개 파트너 중 특별히 선정된 기술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수이의 객체 모델이 각 Mandate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개별 권한 수정/취소가 가능하고, Move 언어의 자산 중심 보안 모델이 프로그래머블 결제에 적합하며, 400ms 미만의 완결성과 병렬 처리가 AI 에이전트의 실시간 결제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때문입니다.
Q8: AP2에서 수이의 온체인 저장 역할이 과장된 것 아닌가요?
A: 맞습니다. AP2 자체는 온체인 저장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Mandate는 VC(검증 가능한 자격증명) 기반 오프체인 데이터이며, 수이는 필요시 해시나 영수증 수준의 온체인 보관 옵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Q9: 니어(NEAR)의 체인 추상화와 구글 AP2 접근법의 본질적 차이는?
A: NEAR는 "여러 블록체인을 하나처럼 사용"하는 기술적 통합에 집중하지만, AP2는 "AI 에이전트의 결제 의사결정 과정 표준화"라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화에 집중합니다. 해결하려는 문제의 층위가 다릅니다.
Q10: 구글이 수이만 선택한 건가요? A: 아닙니다. 60개 이상 파트너가 참여하며, 블록체인 분야에서는 코인베이스, 이더리움 재단, 메타마스크 등도 함께 참여합니다. 수이는 여러 블록체인 파트너 중 하나입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텀 코인 (QTUM) 완전 분석: 2025년 주목받는 배경과 AI 통합 로드맵 총정리 (2) 2025.09.01 크로노스 코인(CRO) 완전정리 | 트럼프 제휴로 주목받는 이유와 전망 분석 (2) 2025.08.30 베라체인(Berachain) 완벽 가이드 - BERA 코인과 2025년 유동성 증명 블록체인 분석 (4) 2025.08.27 게임파이(GameFi)란? 엑시 인피니티부터 샌드박스까지 블록체인 게임의 모든 것 (4) 2025.08.27 트론 코인(TRX) 완벽 분석 2025: 기술 특징부터 선펌프까지 (5) 2025.08.21